소스코드

a = 1
b = 2
c = a + b
print(c + 4)

num_int = 1
num_float = 3.4
num_bool = True

print(num_int)
print(num_float)
print(num_bool)


프로그램 실행 결과

7
1
3.4
True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자료형에 값을 저장하고 연산하고 출력하는 것은 일반적인 다른 언어들과 방식이 같습니다.

하지만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하면서 자료형을 지정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변수에 들어가는 값에 따라서 알맞은 자료형으로 생성됩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기초 3  (0) 2019.06.11
Python 기초 2  (0) 2019.06.10
Python 기초 1  (0) 2019.06.09
파이썬 함수 사용  (0) 2017.05.03
파이썬 문자열 출력  (0) 2017.05.03

프로그램 코드

print("Hello World")


실행 결과

Hello World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파이썬으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한 줄만 입력하면 원하는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기초 3  (0) 2019.06.11
Python 기초 2  (0) 2019.06.10
Python 기초 1  (0) 2019.06.09
파이썬 함수 사용  (0) 2017.05.03
파이썬 변수 사용  (0) 2017.05.03
파일로 첨부합니다.


fwunixref.pdf


이번에는 삼항 연산자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변수1=변수2==a?b:c; 이런식으로 사용하는데

변수2가 a랑 같으면 b를, 다르면 c를 변수1에 넣는 연산자입니다.

다음 코드를 통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Ex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5;

int y

x == 5 ? 2:3;

System.out.println(y);

y =

x == 3 ? 2:3;

System.out.println(y);

}

}


다음은 실행결과입니다.





연산자 == 은 왼쪽 항과 오른쪽 항이 같으면 true 값이 되고

연산자 !=은 왼쪽 항과 오른쪽 항이 다르면 true 값이 됩니다.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이 모두 true 값이면 true이고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 중 하나만 true 값이어도 true가 됩니다.

다음 코드를 통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Ex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8;

int y=3;

boolean b1 = x==8 && y==3;

boolean b2 = x==8 && y==1;

boolean b3 = x==8 || y==1;

boolean b4 = x!=7;

System.out.println(b1);

System.out.println(b2);

System.out.println(b3);

System.out.println(b4);

}

}


다음은 실행결과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