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수를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nt a; 와 같이 변수를 선언하게 되면 a라는 상자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냥 선언해서 빈 상자를 만들 수도 있고, 바로 숫자를 담으면서 선언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건 밑에서 쭉 설명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2C04A55D9DC0A06)
지난 시간처럼 메인함수를 만듭니다.
그리고 위처럼 a, b, c, d 네 개의 변수를 선언하면서 숫자를 넣습니다.
a, b 처럼 하나씩 선언해도 되고 c, d처럼 쉼표를 사용하면 여러 개를 선언할 수도 있습니다.
Hello World를 출력하는데 사용했던 System.out.println(); 함수 안에 따옴표 없이 변수 이름을 넣으면 변수의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그 안에서 c + d 처럼 연산을 시키면 연산되어 출력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91D4A55D9DC0C23)
실행시킨 화면입니다. 문제 없이 잘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85B4A55D9DC0D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5304A55D9DC1038)
이번엔 곱셈, 나눗셈, 뺄셈을 해봤는데 역시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B7D4A55D9DC1518)
출력물을 알아보기 힘들어져서 출력 화면에 있는 숫자가 어떤 변수의 값인지 표시하기 위해서 위처럼 소스를 바꾸었습니다.
따옴표 안에 그것이 어떤 값인지를 알 수 있게 위처럼 적고, 따옴표 뒤에 + 를 쓰고 출력될 변수를 적어주었습니다.
따옴표 안에 있는 것은 써져있는 그대로 출력되고, 그 뒤에 있는 것은 그 변수나 수식의 값이 출력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EAB4A55D9DC172E)
훨씬 더 알아보기 쉬워졌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D913855D9DC191A)
e라는 변수를 만든 후에 c+d의 값을 e에 넣고 출력해보는 코드를 짜봤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계산이 등호(=)의 오른쪽 부분에서 진행되고 그 결과값이 등호(=)의 왼쪽에 있는 변수에 저장됩니다.
위의 코드를 예로 들면 c+d가 계산된 후에 e라는 변수에 저장된 것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DFC3855D9DC1C2C)
e의 값이 제대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5C63755D9DE3002)
a에는 1이 들어있는데 a = a+2; 라는 수식을 써봤습니다.
위에서 말한대로면 a+2가 계산된 후에 변수 a에 그 값이 저장되어야 합니다.
그럼 a는 1이니까 a+2는 3이 되고, 3이 다시 a에 저장되어야 합니다.
그 이후에 a는 3이어야 맞는 것입니다. 실행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2FC3755D9DE3205)
처음에는 a가 1이었는데 저 연산 후에는 a가 3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상 포스팅을 어떻게 마무리해야할지 모르겠네요.. ㅠㅠ
오늘은 기본적인 변수에 대한 개념을 배웠고, 앞으로 변수에 대해서 조금씩 더 알아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